1. 트위터란?
트위터란 말 자체는 '새의 지저귐'을 말합니다. 트위터는 자신의 일상, 생각, 정보 등을 단문(140자)으로 사람들과 신속하게 공유할 수 있는 마이크로블로깅, 소셜네트워킹 서비스입니다. 트위터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형태로 사용됩니다.1) 사람들과의 일상적 대화.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살아가는지, 무엇을 먹고 뭘 하면서 살아가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실제로 트위터에는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적인 이야기들이 많은 부분을 차지합니다. 무엇을 먹었고 무엇을 했고 누구를 만났는지 등의 대화를 통해 많은 사람들과의 관계, 인맥을 구축해나가는 것이죠.
2) 정보 공유, 콘텐츠 유통
일상적 대화를 통한 네트워킹과 더불어 트위터는 수많은 정보가 공유되는 공간이기도 합니다. 각 분야의 정보통들이 전해주는 정보를 누구보다 빠르게 접할 수 있어 학습 및 콘텐츠 유통의 공간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트위터 유저들도 크게는 정보지향적 유저와 네트워킹지향적 유저로 분류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2. 트위터 메인 화면
트위터홈(http://twitter.com) 으로 로그인하시고 들어가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입니다. 자신의 트위터 메인 화면 왼쪽에는 본인이 팔로우(follow)한 유저들의 글들이 계속 업데이트되며 나타나고 오른쪽에는 자신이 발행한 글 수, 내가 팔로우한 사람의 수, 나를 팔로우한 사람의 수, 나를 리스트에 등록한 사람의 수 등이 보이고, 그 아래로 댓글, 디엠, 즐겨찾기, RT 등의 메뉴가 보입니다.
트위터 메인 화면 메뉴
- 유저네임(아이디): http://twitter.com/markidea와 같이 본인의 트위터 주소가 되는 이름입니다.
- 트윗(Tweets): 트위터에서는 글을 발행하는
트윗(tweet)이라고 합니다. 화면에서 보시면
아이디 아래로 해당 유저가 몇 개의 글이 발행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팔로잉, 팔로우(Following): 우리에게는 이웃추가나 1촌이라는 개념이 익숙한데요.
유사한 개념으로 보시면 됩니다. 자신이 이웃 추가한 사람의 수를 보여주는 거에요. 트위터에서 특정인을 Follow, Following하게
되면 그 사람의 글을 받아볼 수 있게 됩니다. 즉,
Following은 이웃추가에 정보구독의 개념이 더해진 거라고 이해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팔로워(Followers): Following에는 자신이 이웃 추가한
사람의 수가 나오죠? 반대로, Followers에는
자신을 이웃 추가한 사람들의 수가 보이게 됩니다.
- 리스트(List): 트위터에서는 관심 트위터
유저를 관심사, 지역, 친분 등 자신이 원하는 기준으로
분류해서 글을 받아보실 수가 있습니다. listed위에 보이는 숫자는 자신을 리스트에 넣은
다른 트위터 유저들의 숫자를 의미합니다.
위에서 예를 든 마키디어(@markidea)는 13,080개(Tweets)의 글을 발행했고, 18,360명이 마키디어를 팔로우하며 글을 보시고 계시고, 마키디어는
9,867명의 글을 받아보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3. 트위터 기본 기능
트위터 홈(twitter.com)이나 클라이언트 등에서 사람들의 트윗 주변으로 아래와 유사한 화면구성을 보시게 됩니다. 트위터를 사용하는데 있어 알아야 할 아주 기본적인 기능들이라 할 수 있습니다.

1) 트위터 글발행하기(tweet)
유익한 정보의 글을 발견해서 그 글을 트위터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은 경우, 아래와 같이 '트위터 사용법'이라고 짧게 제목을 쓰고 한 칸 띄우고 글 주소(http://markidea.net/784) 를 적어준후 업데이트버튼을 눌러주시면 나를 팔로우(follow)하는 사람들(followers)이 내가 올린 글을 자신들의 메인 화면에서 볼 수 있게 됩니다. 팔로워가 한명도 없으면 자신이 올린 글을 보는 사람이 없게되는거겠죠? 기본적으로, 팔로워 수만큼 자신의 글이 노출되게 됩니다.
2)댓글(Reply) 남기기
트위터 화면에 올라오는 글을 보고만 있으면 재미없잖아요. 관심이 가는 글에는 과감하게 댓글을 남겨서 대화를 해보세요. 트위터 글의 오른쪽에 마우스를 가져다 놓으면 화살표 모양으로 Reply라고 보입니다. 그걸 클릭해주면,,
화면 상단 글쓰기 창에 @라는 표시와 상대방 아이디가 자동으로 나타납니다. 이 상태에서 글을 작성하시면 상대방에게 댓글로 전달되게 됩니다.
3)전달하기(Retweet)
Retweet을 줄여 RT라고도 합니다. 위에보시면 Reply옆에 Retweet이라고 보이죠? 이 버튼을 누르면 자신을 팔로우하는 사람들한테 해당글을 전달할수 있게 됩니다. 좋은 글을 함께 나눌수 있는 기능인거죠.
여기까지가 트위터를 이용하시는데 기본적으로 아셔야할 개념들입니다. 조금 어렵나요? 처음 시작할때는 뭐든지 어렵기 마련입니다. 초반에 조금만 적응하시면 새로운 세계를 접하실수 있을거에요.
4. 트위터 클라이언트-트위터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1) 트윗덱(Tweetdeck)
트위터에 접속해서 웹페이지를 열고 트위터를 사용하시면 여러모로 불편한 점이 많습니다. 글쓰기, 댓글 등을 정복하셨으면, 이제 트위터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실 차례인데요. 데스크탑용 트위터 툴로는 트윗덱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네이트온 메신저 아시죠? 트윗덱과 같은 트위터 클라이언트는 트위터를 네이트온 메신저처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트위터에서는 긴 주소(URL)를 짧게 줄인다거나, 사진을 공유하는 경우가 많은데 트위터 홈에서는 이런 기능을 이용하기가 어렵습니다. 트윗덱을 사용하시면 메신저 사용하듯 이 모든것을 쉽게 할 수가 있습니다.
2) 시스믹(Seesmic)
시스믹은 트윗덱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트위터 클라이언트입니다. 시스믹이나 트윗덱 둘중 하나 편하신걸 사용하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이해하셨으면 트위터를 재밌고 유익하게 즐기실 수 있을거에요. 트위터에 적응이 안되시거나 궁금한 점이 있으신 분들은 @markidea로 리플이나 DM을 달아주세요!!!
비밀댓글입니다
이렇게 좋은 트위터를 이제야 알게 되었는지. 아직도 뭐가뭔지 모르겠습니다.
글자수는 140자 이내에만 가능한지요. 아르켜주세요
영문 트위터 ( http://twitter.com ) 등록후 한글 트위터 ( http://twtkr.com )에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140 자 이내이나 설정방법에서 길게도 할 수 있더라구요...
단 영문 트위터 에서는 140 자 이상 글쓰기가 안됩니다.
정보 감사합니다.
트윗을 하겠다고 맘만먹고 한 2년만에 시작하네요.
뭐가뭔지 몰라서 검색만 주구장창....ㅠㅠ
팔로우 해서 좋은 정보 얻어갈게요...;;
트위터에서 인사나누었죠? 이번엔 꼭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전 아직 잘 모르겠어요..ㅠ_ㅠ
잘 모르겟어요
이해력부족인지 읽어보면 그렇구나 느끼는데 막상하려니 어렵네요 ㅡㅡㅋ
진짜 어렵내용 ㅠ.ㅠ 블로그에서 올린 글이 트위터로 곧바로 연결되는 방법은 실제로 해보니깐 안되요.ㅠ.ㅠRSS Feed URL 에 제 블로그 주소가 안적혀요;;;; 제가 뭘 잘못했는지;;;; 암튼 유용한 정보 감사 (꾸벅...m-_-m)
가입은 겨우 겨우 했는데 어떻게 해야 될지를 모르겠어요ㅠ..ㅠ
여전히 어려우신분은 트위터 가입하시고 트위터에서 바로 물어봐주세요
시맥스 설치가 잘 되지 않는군요. 하지만 완초라 생각하고, 따라가 보죠~~
트위터로 갈께요
가입도 안한 왕초보인데요 영어를 못하면 못하는거죠?
잘보고가지만...이해가 다된게 아니립니다 ㅋ 암튼감사
잘보고갑니다^^
. 초보라 그런지 아직 감이 오지 않네요. 따라 해 보면 알겠죠.. 감사합니다.
사용법을몰라헤메고있음
아직 얼떨떨하네요~^^
정말많이배우고갑니다
유용한 글 잘 읽었읍니다.
세상엔 배워야 할 것이 참 많기도 합니다. ^&^
처음가입했답니다 부탁합니다